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절기 뜻과 정보 완벽정리

반응형

대한민국의 절기의 뜻과 음식은 어떤 것을 먹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한국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들이 있다.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음력이 아닌 양력달력으로 보는 것이 옳다.

1. 봄

입춘 2월 4일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우수 2월 19일-눈이 녹기 시작하는 날

경칩 3월 5일-만물이 겨울잠에서 깨는 날로 개구리가 겨울잠을 깨는 날이다.

춘분 3월 20일-낮의 길이가 밤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절기

청명 4월 5일-봄의 날씨가 가장 좋은 날

곡우 4월 20일-봄비가 내리는 절기

 

2. 여름

입하 5월 5일-여름의 시작

소만 5월 21일-볕이 잘 드는 날

망종 6월 6일-곡식의 씨앗을 부리는 절기

하지 6월 21일-1년 중 낮이 가장 긴 절기(이때 팥죽을 먹어 안녕을 기한다.)

소서 7월 7일-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

대서 7월 22일-1년 중 가장 더운 절기

 

3. 가을

입추 8월 7일-가을의 시작

처서 8월 23일-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날

백로 9월 7일-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절기

추분 9월 23일-밤의 길이가 낮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한로 10월 8일-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절기

상강 10월 23일-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

 

4. 겨울

입동 11월 7일-겨울의 시작

소설 11월 22일-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절기

대설 12월 7일-1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

동지 12월 22일-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절기

소한 1월 5일-1년 중 가장 추운 날

대한 1월 20일-1년 중 가장 큰 추위

 

반응형